[2025년 달라지는 것] USB-C타입 규격 통일 무슨 효과가?
환경 보호 및 소비자들 불편 최소화 예정
규격 통일은 2025년 2월 14일부터
2025년 2월 14일부터 모바일 기기 및 스마트 기기는 규격을 통일해야 한다는 새로운 변화 내용이 발표되었다. 충전기와 케이블의 규격이 C타입으로 전면 통일 되면 각기 충전기와 케이블을 사용해야 했던 불편함이 해소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C타입 규격화 통일 추진되는 이유?
EU가 가장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EU는 2022년 C타입 규격 통일화를 내세웠는데 그 기한은 2024년까지로 하는 법안을 통과 시켰다. 이로 인해 라이트닝 8핀 케이블을 사용하던 아이폰과 아이패드는 전부 C타입으로 변경해야 하는 수모를 겪었었다.
그러나 이는 애플에게도 매우 좋은 선택이었다. 소비자들은 C타입이 탑재된 아이패드와 맥북을 적극적으로 구매하는 효과를 누리게 되었고 기기마다 다른 케이블 규격을 만들던 모바일 시장 역시 C타입으로 통일하게 되면서 자연스럽게 사회적 기회 비용이 낮아지는 긍정적인 결과로 가져왔다.
적용 대상
휴대폰, 태블릿, 디지털카메라, 헤드셋, 휴대용 게임기, 휴대용 스피커, 전자책 리더, 키보드, 마우스, 노트북 등 13종의 기기
C타입 규격으로 통일 된다면 장점?
규격 통일로 불편함 최소
우선 충전기와 케이블이 서로 통일 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간 마이크로 5pin 제품도 혼용이 되어서 출시 되는 바람에 C타입 케이블을 샀다가도 다시 마이크로 A타입을 구매해야 하는등 이중으로 소비를 해야 하는 비효율적인 구조를 지녀왔으나 규격통일이 법제화 되면서부터 편의성이 더해질 전망이다.
전자폐기물 감소
규격이 통일 되면 좋은 점은 우선 소비자들은 한가지 케이블만 구매하면 되기에 전자 폐기물이 감소한다는 측면에서 장점이 있다. 케이블의 경우 재활용은 가능하지만 재활용을 하기 위해선 기계가 수행하는 것이 아닌 인력이 수행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케이블이 통일 된다는 것은 이러한 사회적 기회 비용을 줄여나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을 하나만 생산하면 되기 때문에 공장에서도 효율적으로 라인운영이 가능하다.
그리고 C타입 케이블은 내구성이 좋아 오랫동안 쓸 수 있기에 불필요한 지출을 다소 줄일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충전속도의 효율화
C타입의 경우 빠른 충전을 지원할 수 있는 최신 충전 규격이다. 이미 일상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겠지만 저전력부터 고전력까지 이무리 저렴한 케이블이라 할지라도 고속충전이 지원된다는 장점이 있다.
즉, C타입으로 통일이 된다면 적은 시간에도 충전속도가 효율화가 이루어지기에 콘센트에 꽂아놓는 시간을 단축하여 간접적으로나마 전기세 절감에도 효과를 줄 수 있다.
혼용은 언제까지 유지될까?
전자제품 수명이 통상 2~5년이라는 점을 미루어짐작해봤을때 2027년까지는 micro 5pin이 탑재되어 있는 기기들이 상당수 돌아다닐 것으로 판단이 된다.
법제화가 되었다고 해서 즉시 모든 마이크로 5pin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일부 라인이 구동을 하다 수요가 적어지면 서서히 클로징하는 형태로 사라질 것으로 전망한다.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쓰레드 Threads] 17개의 용어정리 한방에 해볼까? (3) | 2025.01.01 |
---|---|
[쓰레드 Threads] 뜻은 무엇인가? '스하리완'은 또 무슨 뜻 (3) | 2024.12.31 |
네이버 모두 서비스 종료 사실인가, 대안은? (2) | 2024.12.27 |
[쓰레드 Threads] 글 수정하는 방법은? (2) | 2024.12.23 |
메모리 용량이 중요할까 대역폭이 중요할까? (0) | 2024.11.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