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빅토리아3 기반시설에 대한 이해

kkoktip_new 2024. 11. 15.
반응형

빅토리아3 기반시설에 대한 이해

 

빅토리아3에서 기반시설은 국가 경제와 산업의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이다. 주요 기반시설의 경우 육로와 해로가 있다. 육로에서 대표적인 기반시설은 철도가 있으며 해로는 항구가 존재한다.

 

기반시설이 중요한 이유

 

우선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택배사가 없을 경우를 생각해보면 된다. 택배사가 없을 경우 동네에 자신이 원하는 물건을 생산하는 공장이 있다면 다행이지만 없다면 물품을 구할 수 없게 된다.

 

기반시설이 마이너스라면 성장동력이 약해지며 심할 경우 지역에 일자리가 넘치는데도 불구하고 팝들이 이사를 가기 시작한다. 

 

그러므로 기반시설을 플러스 상태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인게임 기반 시설에 대한 구조

 

1) 인게임에서 모든 주는 3의 기반시설을 기본으로 갖고 있음

 

인게임에서 모든 주는 +3의 기반시설을 갖고 있으며 도시화나 연구되는 사회 기술에 따라 인프라를 추가로 얻게 된다. 인구 100k당 +2의 인프라를 제공하고 철골구조와 같은 건축기술에서도 인프라를 늘릴 수 있다. 

 

도로 유지 보수 칙령 같은 경에도 기반시설 수치를 임시로 늘릴 수 있는 수단이다.

 

2) 철도를 건설하면 +20 강철 철도를 개발하면 +40

 

철도는 육로 기반 시설의 핵심이자 꽃이다. 강대국들은 대부분 철도 기술이 연구가 되어 있으므로 강철 철도를 개발하기가 쉽지만 조선을 포함한 후진국들은 철도를 연구해야만 얻을 수 있기에 몇발자국은 뒤에서 움직일 수 밖에 없는 운명이다. 

 

그만큼 철도는 매우 중요한 기술이며 기반시설을 팍팍 올려주는데다가 기업가까지 육성할 수 있으므로 일석이조라고 할 수 있다. 

 

시장접근성과의 연관성 

 

주 내 인프라 사용은 각 건물의 유형과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 도시 중심지는 소량의 인프라만 사용하지만, 공장이나 비료공장 등 전문화된 산업 건물은 더 많은 인프라를 필요로 한다.

 

주의 인프라가 부족하면 시장 접근성이 떨어지며, 이는 국가 시장과의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인프라 사용량이 초과될 경우 시장 접근성은 감소해 상품 거래와 지역 경제에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인프라가 미치는 기타 영향

 

인프라는 단순히 경제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군사 및 사회적 요소에도 영향을 미친다.

 

인프라 수준은 전투의 폭(Combat Width)과 이주 가능성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로 작용한다. 전투 폭은 인프라 수치에 따라 확대되거나 제한될 수 있으며, 이는 국가의 전쟁 수행 능력에 직결된다. 또한, 인프라가 부족한 주에서는 인구 이동의 잠재력이 낮아져 지역 발전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