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용량 줄이는 [image Resizer] 이용하기 (feat Power Toys)
우클릭 한번에 이미지 크기를 원하는데로 줄이기 가능
워드프레스를 쓰는 사람들의 고민
워드프레스를 쓰는 사람들의 고민이 한가지 있다. 바로 이미지 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것이다. 이미지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품질만 낮추는 방법을 사용해야 할 수도 있고 사진의 해상도를 바꿔야 할 수도 있다.
이미지 용량을 줄이는 이유는 호스팅 웹하드 용량 때문이다. 웹하드 용량은 내가 돈을 내는 것이기에 많은 글과 그림을 올리려고 한다면 필수적으로 용량 줄이기가 행해져야 한다. 그러므로 트래픽 용량이 필요없는 구글 블로그나 티스토리를 선호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옛날 같으면 꿀뷰를 설치하여 용량을 한번에 줄이는 방법을 택했겠지만 꿀뷰 외에 다른 프로그램도 있기에 여기에서 소개를 해보고자한다.
POWER TOYS에 탑재되어 있는 Image Resizer란?
파워토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의 정체는 과거 윈도우 95 부터 탑재되어 오던 트윅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최적화 기능과 윈도우의 기능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라고 보면 된다.
이 파워토이는 윈도우가 업데이트 될 수록 업그레이드를 거듭해왔는데 이미 나는 파워토이를 설치해 '코타나키를 한자키'로 변경하는 역할로 사용했었으며 워드프레스를 운영하고 있는 입장에서 이 기능도 소개를 해주면 좋을 것 같아서 가져와봤다.
Image Resizer란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미지 크기를 다시 지정해주는 것이다.
기능을 압축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1) 이미지 크기를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2) 이미지 품질을 조정하여 용량도 줄일 수 있다.
3) 내가 줄이고자 하는 이미지 크기와 비율을 커스텀할 수 있다.
4) 내가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 확장자도 정할 수 있다. (jpg to Png와 같은)
물론 꿀뷰도 좋은 선택이긴 하지만, 내가 만들고자 하는 이미지 사이즈를 미리 지정하여 프리셋 할 수 있단 점에서 이미지 리사이져가 훨씬 나은 선택이라는 점을 알려드리고 싶다.
사용방법
1) 파워토이를 설치한다 ( 이부분은 다른 포스팅에 있으므로 참고한다)
-> 다운로드 링크
2) 다운로드 한 다음 설치하여 실행한다. 그럼 아래와 같은 창이 등장한다.
여기서 Image Resizer를 활성화 한다.
3) 이미지 리사이저를 활성화 하였다면 이미지 사이즈를 조정할 수 있는 준비가 완료되었다.
인터넷에서 원하는 그림을 다운로드 하거나 스크린샷을 촬영한다.
참고로 윈도우 10부터는 [ 윈도우키 + 쉬프트 + S ]키를 누르면 스크린샷을 촬영할 수 있는 창이 출력된다.
촬영된 스크린샷은 [ 문서 - 스크린샷 ] 폴더에 저장이 된다.
4) 이 폴더로 들어가 보도록 하자. 그러면 방금 촬영한 스크린샷이 위치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5) 줄이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을 우클릭한다. -> 맨 밑 부분에 image Resizer 메뉴가 등장한 것을 볼 수 있다.
6) 여기서 크기 조정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출력된다.
7. 여기서 톱니바퀴를 누르면 세부적인 세팅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환하고자 하는 이미지 확장자 파일 그리고 해상도 품질까지 전체적으로 세팅을 만져줄 수 있다.
이미지 크기 미리 설정하는 방법
이미지 크기에서는 내가 자주 변환하는 크기를 미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세 새 크기 추가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새크기 1로 먼저 생성이 된다.
이후 편집을 누르면 원하는 이름을 입력할 수 있으며 맞춤 사이즈에서 맞출 것인지 늘릴 것인지 설정이 가능하다.
변환코자 하는 이미지 확장자 파일 미리 정하기
대체 인코더의 경우 내가 원하는 확장자로 변환할 수 있는 인코더를 의미한다. 우측 사진을 보면 알겠지만 다양한 인코더를 이용하여 확장자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Webp가 없다는 점에서 아쉬운 대목이지만 그간 업그레이드 되어 왔던 것을 보아 알 수 있듯이 결국 패치 될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미지 변환해보기
나는 미리 워드프레스나 블로그에 들어갈만한 너비를 지닌 400x400의 사이즈를 만들어봤다 대게 100kb 내로 용량이 떨어져 자주 이용하는 사이즈기도 하다.
변환을 완료하면 이미지 파일명 뒤에 (BLOG = 내가 크기를 지정할 때 설정했던 이름)가 붙여지며 변환전 876kb에 육박하던 용량이 10분의 1 수준인 80kb 대로 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보다 직관적인 디자인과 webp 지원을 요한다면 꿀뷰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꿀뷰는 현재 반디집으로 버전이 바뀌긴 했지만 여전히 구버전을 다운로드 할 수 있다.
하지만 반디집 측에서 지원 종료로 인해 더이상 다운로드 링크를 제공하지 않을 수도 있어 여기에 인스톨 파일을 남겨본다. 유저들이 언젠가 이 사이트를 찾아왔다면 이용하길 바란다.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l Core i7 14790F vs. Intel Core Ultra 5 115U: 데스크톱과 노트북 CPU의 성능 비교 (1) | 2025.02.02 |
---|---|
ASUS 비보북의 뜻과 비보북 라인업 살펴보기 (1) | 2025.01.28 |
스마트폰이 80%까지만 충전되는 이유와 해결방법 (0) | 2025.01.21 |
코어 울트라란 (코어울트라 5 / 7 시리즈) 그리고 무엇이 달라졌나 (1) | 2025.01.18 |
챗 GPT 초안 저장 오류 나는 이유? (2) | 2025.01.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