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이야기29

[쓰레드 Threads] 뜻은 무엇인가? '스하리완'은 또 무슨 뜻 쓰레드 팔로우, 하트, 리포스트, 완료 쓰레드의 의미 쓰레드는 메타(Meta)에서 과거 전신 트위터(현재 X)를 견제하기 위해서 만든 마이크로블로그를 겸할 수 있도록 만든 SNS이다.  쓰레드의 Threads는 영문으로 직역하면 실 또는 실타래로 직역해볼 수 있으며 의역으로는 대화의 흐름이나 연속성을 나타낸다. 즉, 이를 한번 더 의역해본다면 끊임없는 대화 쯤으로 이해가 될 수 있겠다.  쓰레드는 파급력이 있는가? 쓰레드는 모두가 알다시피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은 신생 플랫폼이다. 메타는 그동안 인스타그램과 페이스북이라는 두 가지 주요 플랫폼을 운영해 왔지만, 이번에 페이스북과 상당히 유사한 쓰레드 서비스를 런칭하며 새로운 시도를 시작했다. 출시 초기임에도 불구하고 쓰레드는 빠르게 파급력을 키워가고 있.. IT이야기 2024. 12. 31.
[2025년 달라지는 것] USB-C타입 규격 통일 무슨 효과가? 환경 보호 및 소비자들 불편 최소화 예정 규격 통일은 2025년 2월 14일부터  2025년 2월 14일부터 모바일 기기 및 스마트 기기는 규격을 통일해야 한다는 새로운 변화 내용이 발표되었다. 충전기와 케이블의 규격이 C타입으로 전면 통일 되면 각기 충전기와 케이블을 사용해야 했던 불편함이 해소가 될 것으로 전망한다.   C타입 규격화 통일 추진되는 이유? EU가 가장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EU는 2022년 C타입 규격 통일화를 내세웠는데 그 기한은 2024년까지로 하는 법안을 통과 시켰다. 이로 인해 라이트닝 8핀 케이블을 사용하던 아이폰과 아이패드는 전부 C타입으로 변경해야 하는 수모를 겪었었다.  그러나 이는 애플에게도 매우 좋은 선택이었다. 소비자들은 C타입이 탑재된 아이패드와 맥북을 적극적으.. IT이야기 2024. 12. 31.
네이버 모두 서비스 종료 사실인가, 대안은? 네이버 모두는 네이버 웹페이지 무료개설 서비스였다  네이버 모두의 종료 이유 네이버 모두가 서비스 종료 한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기존 네이버 모두에서 웹페이지를 무료로 개설하여 사용하고 있던 사용자들에게 벼락같은 소식이 전해졌다. 네이버 모두의 경우 홈페이지를 개설하기 힘든 초보자들을 위한 웹페이지 빌더였기에 그 충격이 더 큰데 더 커다란 이유는 네이버에서 밀어주기 때문에 검색란의 웹페이지 항목에 가장 우선적으로 노출을 해줬기 때문이다.  나름 쏠쏠하게 무료로 홍보효과를 누리고 있었던 소상공인 및 블로거들에게는 나름 아쉬운 대목이다.  아래의 스크린샷은 네이버 모두 서비스를 종료한다는 안내문의 일부다.  모바일로의 전환이 가속화 되고 있다는 말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한마디로 돈이 안된다는 이야기를 그럴.. IT이야기 2024. 12. 27.
[쓰레드 Threads] 글 수정하는 방법은? 글 수정은 15분 이내로 해야 한다 쓰레드, 그게 무엇인가? 쓰레드는 인스타그램에서 밀고 있는 SNS이자 마이크로블로깅이라고 보면 된다.  마이크로블로깅이란 인스타처럼 사진위주에 치우쳐져 있는 형태가 아닌 글과 사진 즉, 글이 더 중요한 형태의 SNS라고 보면 된다. 사진위주로 더 많이 업로드 한다면 인스타그램을 글로 소통을 하고자 하는 사람은 쓰레드를 위주로 하면 된다.  쓰레드 글 수정 안돼? 처음에 쓰레드는 글 위주의 마이크로블로깅이라고 하면서 가장 중요한 글 수정이 안된다고 하니 기가 찰 노릇이었다. 보통 글을 쓴 후 한참있다가 잘못된 부분을 발견하곤 하는데... 이러한 불편함이 쓰레드 개발진에게 닿았는지 최근 패치로 이 부분을 수정하여 글 수정을 15분간만 할 수 있도록 기능을 제한 했다.  쓰.. IT이야기 2024. 12. 23.
메모리 용량이 중요할까 대역폭이 중요할까? 게임을 한다면 용량과 대역폭이 둘다 중요영상작업을 위해서라면 대역폭보다는 용량  메모리 용량과 대역폭의 관계 메모리의 용량을 무조건 늘리는 것이 성능에 다 좋을까? 그것은 아니다. 메모리 용량이 높으면 저장장치로부터 임시 저장공간인 메모리로 더 많은 데이터를 옮길 수는 있지만 이 데이터가 왔다갔다 하는 대역폭 즉, 1번에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오가느냐에 따라서도 성능이 달라질 수 있다.  그렇기에 대역폭과 용량을 모두 체크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메모리 용량 메모리 용량은 흔히 DDR4 기준으로 봤을때 16GB 32GB 등으로 표기하는 것이 바로 메모리 용량이라 할 수 있겠다. 메모리 용량은 CPU가 요구하는 정보를 임시적으로 저장할때 쓰인다.  보통 가상메모리 부족이라는 오류메시지가 바로 메모리 용.. IT이야기 2024. 11. 20.
반응형